역대 대통령과 한일 갈등사9 (문재인) > 질의응답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역대 대통령과 한일 갈등사9 (문재인) > 질의응답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img

질의응답

한일갈등타파연대

역대 대통령과 한일 갈등사9 (문재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3-02-10 08:04

본문

문재인 대통령


위안부 합의 파기 대신 '진정한 사과' 촉구 2018.1.9
“위안부 문제, 외교로는 해결 못해” 인권해법 강조 2018.8.14
아베 면전서 "위안부 합의 재협상 없다" 2018.9.26


 

한일 일본군 위안부합의 파기 :

2018925일 문재인은 미국 뉴욕에서 만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화해·치유재단'을 사실상 해산하겠다는 뜻을 통보함.

 

이어 1121일 문재인 정부가 2015년 일본과의 ‘12·28 위안부 합의에 따라 설립한 화해·치유재단의 해산을 공식 발표(여성가족부가 설립 허가 취소’).

 

재단은 일본이 출연한 10억엔(108억원)으로 생존 피해자 총 47명 중 34, 사망 피해자 199명 중 58(유족 수령)에게 치유금으로 총 44억원을 지급


재단에는 일본 출연금 가운데 578천만원과 우리 정부가 출연한 103억원을 더해 160억원 정도가 남아 있음.

 

징용 문제 (노무동원) :

20181030, 김명수 대법원장을 포함한 13명의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김능환 대법관(일본제철 강제징용 소송 주심)의 판결에 따라

 

“(일본 전범기업) 신일철주금이 피해자들에게 각각 1억원을 배상하라는 손해배상 확정 판결을 내림.

 

김능환은 당시 독립운동 하는 심정으로 판결문을 썼다는 말을 남김.  

*정치로 풀어야 할 일이 사법부로 넘어가 더 복잡해졌다 


 [서울신문] 7일 일본 서점에 배포된 회고록에 따르면 아베 전 총리는 생전 문재인 전 대통령을 ‘확신범’이라고 표현했다. 한국 대법원의 징용 배상 판결이 국제법 위반이라는 사실을 문 전 대통령이 알고 있었단 주장이다. 


생전 아베 전 총리는 2018년 한국 대법원이 일본제철과 미쓰비시중공업을 대상으로 강제징용 피해를 배상하도록 판결한 데 대해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이 1965년 체결한 청구권협정은 국제법상 조약에 해당하며,여기에 배상 청구권은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고 명기됐다”며 “조약을 부정하는 판결은 국제사회에서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문재인 전 대통령이 노무현 정권 당시 한일 협정을 재검토한 위원회에 참가했기에 징용 배상 판결의 문제점을 알고 있었지만, 반일을 정권 부양의 재료로 이용하고 싶어했다고 주장했다. (링크1)


"#강제징용 보상은 1965년 #청구권 협정에 포함" 노무현 정부 당시 민관 공동委서 결론낸 사안: 2005년 이해찬 총리가 위원장, 문재인 민정수석은 위원으로 참여, 피해자 7만2631명에 6184억 지급(2007~2015) (링크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일갈등타파연대

대표이메일 : [email protected]
Copyright © 한일갈등타파연대. All rights reserved.